목록자료구조 (22)
정화 코딩

A. 여러분의 다리가 되어 드리겠습니다! (백준 17352번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352 #python from sys import stdin import sys sys.setrecursionlimit(100000) def find(a): if parent[a] == a: return a else: parent[a] = find(parent[a]) return parent[a] def union(a, b): a = find(a) b = find(b) if a != b: parent[b] = a n = int(stdin.readline()) parent = [i for i in range(n+1)] for _ in range(n-2): a, b = map(int, ..

08-2. 유니온 파인드 050. 집합의 표현 (백준 1717번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17 from sys import stdin def find(a): if parent[a] == a: return a else: parent[a] = find(parent[a]) return parent[a] def union(a, b): a = find(a) b = find(b) if a != b: parent[b] = a n, m = 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 parent = [i for i in range(n+1)] for _ in range(m): x, a, b = 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 if x ..

EDOC 과제를 다 풀고 추가로 푸는 문제들을 꾸준히 문제 풀기 글로 따로 정리하려고 한다. 1/14. 덩치 (백준 7568번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7568 #python from sys import stdin n = int(stdin.readline()) data = [] ans = [] for _ in range(n): x, y = 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 data.append([x, y]) for i in range(n): k = 1 for j in range(n): if (data[j][0] > data[i][0]) and (data[j][1] > data[i][1]): k += 1 ans.append(k) for x in..
파이썬으로 스택 구현하기 (by 리스트) class Stack : def __init__(self) : self.items = [] def push(self, item) : self.items.append(item) def pop(self) : if not self.isEmpty() : return self.items.pop() else : print("Stack underflow") exit() def peek(self) : return self.items[-1] def isEmpty(self) : return not self.items def size(self) : return len(self.items) def clear(self) : self.items = [] 파이썬으로 큐 구현하기 (by 리스..

스택 (Stack) 💡 정의 자료의 입력과 출력을 한 곳(방향)으로 제한한 자료구조 💡 특징 - 후입선출 구조: 마지막(Last)에 들어온(In) 데이터가 먼저(First) 나간다(Out) → Last-in-first-out(LIFO) - 시간복잡도: 삽입 삭제 연산 O(1) - top을 통해 접근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, 삽입, 삭제가 빠르다. - top 위치 이외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탐색할 수 없다. 탐색하려면 모든 데이터를 꺼내면서 진행해야 한다. 💡 관련 용어 - top(peek):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이자 먼저 삭제 될 데이터 - push: 데이터 넣기/삽입. (삽입 된 데이터는 삭제시 가장 먼저 삭제 될 데이터가 됨.) - pop: 데이터 꺼내기/삭제. (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..
💡 자료구조 데이터를 어떠한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. 어떻게 효율적으로 자료를 저장할 것인가? ex) 배열, 스택, 큐, 덱, 그래프, 트리, ··· 💡 알고리즘 저장된 데이터를 찾거나 변형하거나 수정할 때 필요한 방법.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? ex) 재귀적 알고리즘, 탐욕 알고리즘, 검색 알고리즘, 정렬 알고리즘 ··· [출처 및 참고] https://velog.io/@kmg2933/%EC%9E%90%EB%A3%8C%EA%B5%AC%EC%A1%B0%EC%99%80-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%EC%9D%98-%EC%B0%A8%EC%9D%B4